12·3계엄선포 당시 필립골드버그주<한>미대사가 김태효대통령국가안보실1차장과 통화했던 사실이 7일 뒤늦게 알려졌다.
이 통화에서 김차장은 윤석열의 계엄선포를 반국가세력에 대항하기 위한 적법조치였다고 설명한 반면 골드버그는 깊은 유감과 우려를 전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또 일부 우방국 대사관은 합동참모본부가 계엄에서 빠진 이유를 비상계엄준비과정에서 미에 철저히 비밀로 하려던 의도로 분석하고 있다는 것도 이날 처음 확인됐다.
7일 복수의 <한>미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골드버그는 지난해 12월4일 국회 비상계엄해제안통과직후인 오전2~3시 사이 김차장과 통화했다.
이때 김차장은 <자유민주주의>를 파괴하는 세력에 대해 헌법주의자이자 <자유민주주의> 헌정질서를 누구보다 숭배하는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 내린 결단이었다고 해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대통령실이 비상계엄 해제 이후 외신에 배포한 입장문 내용이기도 하다.
앞서 대통령실은 비상계엄이 해제됐음에도 외신기자들에게 연락해 계엄에 대해 <국민의 먹고사는 문제를 볼모로 법률안과 예산안을 방해하고, 타협할수 없는 국가안보를 훼손한 세력에 대한 불가피한 대처>라고 주장했다.
대통령실은 헌정질서파괴라는 지적에 <대통령으로서 <자유민주주의> 헌법질서를 지키기 위한 액션은 취했지만, 합헌적 틀 안에서 행동을 취했다>고 반박하기도 했다.
골드버그는 김차장의 입장에 깊은 유감과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미소식통은 여러 질문이 있었지만 납득할 만한 답변도 받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골드버그는 비상계엄 선포·해제 과정에서 여야의원들과도 대화를 나눴다. 야당에서는 우원식국회의장, 위성락민주당의원 등과 접촉했다.
한편 비상계엄이 선포된 지난해 12월 첫째주에는 당초 주<한>미군을 비롯, <한>·미 장병들을 위한 각종 송년행사가 예정돼있었으나 계엄으로 모두 취소됐고, 주<한>미군사령관은 장병들에게 이동자제를 권고했다.
이보다 앞서 미는 신원식국가안보실장-김용현국방장관 체계가 갖춰진 이후 공세적으로 전향한 윤석열정부의 안보접근법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고 알려졌다.
미는 지난해 10월 평양무인기사건부터 국가정보원의 <조러파병설>주장까지 윤석열정부의 대조선공세수위가 높아지자 주<한>미군대화채널 및 국무부 등을 통해 우려를 표명해왔다는 것이다.
<한>미 외교소식통은 비상계엄은 전혀 예상하지 못했지만, 윤석열정부의 안보접근법은 지난해 하반기 들어 우려스러운 지점이 많았다고 피력했다.
일부 우방국의 주<한>공관은 본국에 <비상계엄준비과정에서 합동참모본부가 배제된 배경에는 미에 철저히 비밀로 하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자료를 보고한 것으로 드러났다.
김용현이 미에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우려해 김명수합참의장 등을 계엄논의에서 전면 배제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