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박안수전계엄사령관의 검찰서진술에 따르면 계엄실패직후 윤석열은 법령집을 찾아봤고 김용현은 침묵했다는 현장상황이 밝혀졌다.
지난해 12월4일 새벽1시3분 국회에서 계엄해제요구결의안이 가결된 뒤 윤석열이 향한 곳은 합동참모본부 지휘통제실에 있는 결심지원실이었다. 검찰수사결과를 보면 윤석열이 결심지원실에 머문 시간은 새벽1시16~44분으로 28분 남짓이다. 대통령실과 합참이 용산구 국방부청사에 모여있는 위치를 고려하면 윤석열은 국회에서 비상계엄해제요구안이 의결된 직후 합참으로 향한 셈이다.
윤석열이 결심지원실에 도착하자 김용현, 박안수와 수행인원이 모였다고 한다. 윤석열은 법령집을 주변에 요구했고, 김용현의 보좌관이 실무자를 통해 법령집을 구해 대통령실수행원에게 전달했다. 윤석열은 <셋만 있을 테니 나머지는 나가지>라고 말해 결심지원실에는 윤석열과 김용현, 박안수만 남았다.
박안수는 <장관님이 (윤석열에게) 현상황에 대해 간단히 설명을 드렸고, 그후 긴 침묵이 있었다>, <두 분이 가까이 있으면서 보고했고 간단히 말씀하셨기 때문에 (대화내용은)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적막이 감돌았다. 대통령이 화가 나셨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 <대통령은 두꺼운 법령집을 넘긴 기억이 난다>, <장관님은 약간 웅크리고 계셔서 정확히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진술했다.
윤석열은 정진석대통령실비서실장 등 비서진이 합참을 찾은 새벽1시45분께 이들과 함께 대통령실로 향했다. 김용현의 보좌관은 누군가와 통화한 뒤 김용현에게 어디론가 가야 한다고 했지만, 김용현은 <나는 참석하지 않겠다>며 자리를 지켰다. 이후 <오시라고 합니다>는 보좌관의 말에 김용현은 자리에서 일어났다고 한다.
김용현과 박안수는 새벽2시42분께 결심지원실을 나와 대통령실로 향했다. 그뒤 박안수는 새벽3시7분, 김용현은 3시18분 합참으로 돌아왔다. 김용현은 새벽3시23분에야 주요지휘관화상회의를 통해 군철수를 처음으로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