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2일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가 의대생전원복귀보도는 사실이 아니라면서 <의대협방향성은 투쟁으로 수렴됐다>고 강조했다.
앞서 대부분의 의대생들이 정부지정복귀시한에 맞춰 1학기등록을 했지만 실제 수업참여율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교육부와 대학가에 따르면 지난달31일 기준 전국40개의대에서 전체의대생 중 96.9%가 2025학년도1학기등록을 했다.
그러나 의대협(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15개의대 의대생6571명 중 실제로 수업에 참여한 학생은 3.9%인 254명에 불과하다.
최근 고려대의대본과2학년재학생74명중 47명이 수업에 참여하며 수강율이 60%를 넘겼다고 알려졌으나 현장증언에 따르면 대면수업참여학생은 10연안팎에 지나지 않았다.
한 한양대의대교수는 <서울대본과는 30%, 한양대본과는 10% 정도만 수업을 듣고있는 것 같다. 예과는 의대교육뿐만 아니라 교양과목도 듣고 있어서 파악하기가 어렵다.>고 설명했다.
한 순천향대교수도 <의대수업뿐만 아니라 교양수업도 비대면으로 전환했지만 학생들이 참여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초반에 거의 100%참여를 하던 학생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참여율이 저조해지고 있는 것 같다.>고 짚었다.
의대생들은 지난4일 윤석열이 파면되고 정치권이 조기대선모드에 돌입해 정부의 의대정원증원정책추진동력이 약화된만큼 조금 더 버텨보자는 분위기다.
대한의사협회는 <일부 의대생이 학사상 불이익을 겪고 있어 사실관계파악후 법률자문단과 연계해 필요한 지원에 나설 계획>이라면서 <의대생 자율성과 권리 보호를 위한 제도적 노력도 계속하겠다>고 전했다.